도서/경영학

The Goal (더 골) 1

naraofreview 2024. 10. 18. 10:45
반응형
더 골 (The Goal) 1
저자: 엘리 골드렛 (Eliyahu Goldratt), 제프 콕스 (Jeff Cox)
경영학 도서 중 대표적인 책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업이 아닌 본인에게 질문할 수 있는 비유적인 부분도 있다.
삶에서 한 번은 겪을만한 경험들을 기업이 운영하는 이야기 형식으로 들려주어 이해하기가 훨씬 쉬운 편이다.
하드웨어적으로 CPU와 그래픽카드(GPU)의 병목현상처럼 하나의 흐름에 시간적, 물리적 제약조건을 해결한다면 훨씬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듯이 다른 장소 및 상황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되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 있어서 ‘The Goal'이란 책을 참고할 수 있다. 전반적인 흐름에 있어서 기업의 목표에 대한 탐구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통계적 변동이 결합된 종속적 사건들의 흐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약요인인 병목 자원과 비 병목 자원의 관리 및 개선을 통한 현금창출률 증가를 책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기업의 목표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기업의 목표는 어디에 있는가?’ 기업의 목표는 원가절감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원가 절감만이 기업의 목표를 대신할 수는 없다. 기업의 목표는 돈을 버는 데 있다. 그 돈을 통해 기계설비를 추가할 수 있고, 인수합병을 통한 기술 이전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R&D를 통한 지속성인 성장을 이루어 낼 수 있다. 그러면 그 돈을 끌기 위해 생산활동의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자.
둘째 생산활동의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공장의 부지가 정해지고 건물이 지어지고 나면 기계설비를 들여와 배치할 것이다. 기계 설비에 있어서 효과적인 생산활동을 위한 방법은 조립라인 구축을 들 수 있다. 부품 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시 조립라인 구축은 원자재가 공장에 입고되어서 완제품으로 생산되기까지 필요한 작업 준비, 가공시간, 대기시간, 유휴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고 발생의 소지를 줄여 재고 유지비용을 덜 수 있고, 리드타임이 짧아짐에 따라 고객들의 주문에 보다 빨리 대처할 수 있다.
세 번째 통계적 변동이 결합된 ‘종속적 사건’들의 집합을 생각해 보자. 유동적인 흐름을 가지고 있는 예측 불가능한 정보를 ‘통계적 변동’을 따른다고 정의할 수 있다.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첫 번째 작업이 이루어진 뒤에 둘째 그리고 세 번째, 네 번째... 과정을 통해 마지막 작업을 마쳐 제품이 완성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공정 단계는 종속적 사건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제품 공정 간 거리가 멀어진다거나 거리는 일정하지만 작업 간 공정시간의 차이가 있다면 재고가 쌓일 것이고 그에 따라 재고 유지비용으로 인한 현금창출률은 감소할 것이다.
네 번째 시스템의 제약요인(CCR)인 병목 자원과 비 병목 자원의 구분과 그에 따른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병목 자원이란 시장 수요와 같거나 적은 자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병목 자원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우선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시장 수요를 알아내야 한다. 그리고 병목 자원이 아닌 자원을 비 병목 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한 공장의 완제품 생산능력은 병목 자원의 생산능력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병목 자원에서의 자원이 시간당 배출하는 생산능력은 곧 전체 공장의 완제품과 일치한다. 따라서, 병목 자원에서 1시간을 낭비했다면 그것은 곧 공장 전체 시스템에서 1시간 허비한 것과 같은 결과를 낸다. 이 사실을 통해 통계적 변동과 종속적 사건을 정의해 보자. 완제품이 만들어지는 공정은 종속적 사건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통계적 변동이란 각 공정 간의 평균값이 그 종속적 사건을 결합을 따르며 사건들의 시간에 따라 그 변동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면 병목 자원이 이 변동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가... 를 생각해 본다면 그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그 비용치를 따지자면 시스템의 운영비용을 병목 자원의 생산 활동 시간으로 나누면, 그 액수가 바로 병목 자원의 실제 운영비용이 된다.
책에서는 병목 자원으로 NCX-10과 열처리 과정을 꼽고 있다. NCX-10은 제품이 완성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기계설비이고, 열처리 과정 또한 품질검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으로 병목 자원에 속한다. 비 병목 자원은 이 2가지를 제외한 자원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앞에서 살펴본 병목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병목 자원을 풀가동 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전체 공정 시간을 줄이고 제품 생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병목 자원의 풀가동을 위한 인원 배치 또한 중요하다. 하루를 기준으로 24시간을 담당할 직원을 배치해서 기계의 유휴시간을 줄여야 한다.
병목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공정 간의 배치를 바꾸는 방법이 있다. 병목 자원을 통과하지 않아도 되는 부품은 재배치를 할 수 있다. 재배치를 통해 리드타임이 줄어들 것이다. 그리고 품질검사와 같은 공정 단계에 있어서 제품 완성 후에 불량제품 구분을 할 수도 있지만 제품 완성 전에 품질검사 단계를 거침으로써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공정 간의 재배치를 통한 불량률 감소는 완성품의 품질 향상과 기업의 이미지를 고품격 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품질 좋은 제품과 이미지는 마케팅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다섯 번째 병목 자원의 풀가동과 재배치로 인한 일시적인 병목 자원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제품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병목 자원에서 생산되는 제품도 필요하지만 비 병목 자원에서 생산되는 부품 또한 필요하게 된다. 병목 자원에서 생산되는 부품의 속도가 비 병목 자원에서 생산되는 부품의 속도보다 현저히 빠르다면 비 병목 자원 앞에 처리되어야 할 부품들이 쌓일 소지가 있다. 부품들이 제때에 생산되지 못할 경우 제품이 완성되지 못한다. 그리고 쌓인 부품의 재고는 재고 발생 유지비용을 증가시키고 주문 제품에 대한 납기지연을 발생함으로써 현금유동성과 현금창출률을 낮추게 한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 수 있을까? 병목과 비 병목 자원 사이의 생산속도의 균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생산에 들어가는 원자재를 반으로 줄임으로써 생산속도를 맞출 수가 있다. 병목 자원과 비 병목 자원에 들어가는 원자재를 줄임으로써 전체 제품 완성 기간은 줄어든다. 그리고 병목 자원의 유휴시간이 줄어든다. 전체 공정 시간이 줄어듦으로써 경쟁상대보다 빠른 시간 안에 제품을 주문자와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보다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공정별 조립라인 구축을 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조립라인은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리드타임을 줄여서 고객의 수요에 빨리 대처할 수 있다. 여기에 공정별로 배치해 생산시간을 맞춤으로써 JIT(적시생산 시스템)을 이루어 낼 수 있다. 적시생산 시스템은 시장 초기 진입 단계에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제품수요가 충분하지 않으며 시장 수요가 적기 때문에 소량 생산이 유리하며 원가에 대한 영향 또한 큰 편이기 때문이다. JIT는 적정한 부품을 적시, 적소에 제공함으로써 생산활동에 있어 가치를 부가하지 않는 모든 낭비의 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접근법이다. JIT 시스템은 재고 감소,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기존에 있던 기계의 재배치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조건이 맞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병목 자원의 부하량을 나누는 방법이 있다. 책에서 언급된 경우를 예로 들면 NCX-10 이란 병목 자원의 처리를 대신할 수 있는 스메그마와 스크루 마이스너(이 기계들은 NCX-10 이 도입되기 이전에 사용되었었다.)을 들여와서 병목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를 통해 현금창출률 증가시키고 있다. 공정 단계를 거쳐진 제품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기업의 목표와 그에 따른 목표 달성 방법에 대해 정리하자면 기업의 최종 목표는 투자수익률과 현금유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순이익을 향상시켜 돈을 벌어들이는 데 있다. 종속적 사건이 결합된 통계적 변동을 통제함으로써 생산공정 단계를 효율화할 수 있으며 통제 가능하다면 시장 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시스템 제약요인인 병목 자원을 찾아내어 위와 같은 해결 방법을 이용한다면 현금창출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관리자는 생산능력 제약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향상할 방법을 항상 생각하여야 한다.
그리고 생산활동에 있어서 원가절감이나 디자인 개선, 마케팅 전략과 맞물려 계획되어야 한다. 생산능력이 충분하다고 제품이 팔리는가? 마케팅 부서에서 주문자를 연결해 주어야 한다. 주문자가 많고 생산능력이 적시생산 시스템을 갖춘다면 제때에 납기 하여 현금 유동성은 증가할 것이고 기업은 많은 돈을 벌어들일 수 있다. 이를 생산부문과 기술에 재투자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으며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생산활동을 5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시스템의 제약요인(들)을 찾아낸다.

2. 제약요인(들)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다.

3. 위의 결정에 다른 모든 것을 종속시킨다.

4. 시스템의 제약요인(들)을 향상시킨다.

5. 만일 4단계에서 제약요인(들)이 더 이상 시스템의 성과를 제약하지 않게 되면 다시 제1단계로 돌아간다.

 

The Goal(더 골) 1(30주년 기념 개정판 번역본) | 엘리 골드렛 - 교보문고

The Goal(더 골) 1(30주년 기념 개정판 번역본) | 30여 년 동안 인류의 삶을 바꾼 경영서!경제경영의 고전 『더 골』의 최신 개정판. 세계를 제패한 기업 아마존 CEO 제프 베저스, 현대 경영학의 창시자

product.kyobobook.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