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16

한라산 국립공원(Hallasan National Park)

한라산 국립공원한라산은 1966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으로,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2002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2008년 물장오리오름 상정화구호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참고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웹사이트

지리산 국립공원(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 국립공원1967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리산은 경남의 하동, 함양, 산청, 전남의 구례, 전북의 남원 등 3개 도, 5개 시군에 걸쳐 483.022km2의 가장 넓은 면적을 지닌 산악형 국립공원이다.둘레가 320여km나 되는 지리산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봉우리가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 노고단(1,507m)을 중심으로 병품처럼 펄쳐져 있으며, 20여개의 능선 사이로 계곡들이 자리하고 있다.[참고사이트] 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

설악산 국립공원(Se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국제적으로도 그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1982년 유네스코로부터 생물권보존지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지역이다.설악산국립공원은 주봉인 대청봉을 비롯하여 소청봉, 중청봉, 화채봉 등 30여 개의 높은 산봉우리가 웅장하게 펼쳐져 있다.

팔공산 국립공원(Palgongsan National Park)

팔공산 국립공원팔공산은 2023년 12월 31일 국립공원 제23호로 지정되었다.팔공산은 대구광역시의 중심에서 북동방향으로 약 20km지점,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곳에 병품처럼 웅장하게 솟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해발 1,193m의 산이다.주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미타봉(동봉)과 삼성봉(서봉)이 어깨를 나란히 겨루고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와 군위군, 경북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5개의 시.군.구에 걸쳐 있다.[참고사이트] 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

주왕산 국립공원(J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 국립공원1976년 우리나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보는 이를 한눈에 사로잡는 암봉과 깊고 수려한 계곡이 빚어내는 절경을 간직한 영남 제1의 명승지이다.주왕산(720.6m)을 중신으로 태행산(933.1m), 대둔산(905m), 명동재(875m), 왕거암(907.4m) 등의 산들이  말발굽형으로 자연성곽 같은 멋진 산세를 이루고 있다.[참고사이트] 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

가야산 국립공원(Gayasan National Park)

가야산 국립공원토신골 탐방로남부내륙 산간지역에 위치한 명산으로 1972년 국립공원 제 9호로 지정되었다.가야산은 예부터 해동의 10승지 또는 조선 팔경의 하나로 이름이 높았다.주봉인 상왕봉(1,430m)이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해서 우두봉으로 불리기도 하며, 가야산에는 회장암으로 이뤄진 산악경관과 화강암으로 이뤄진 하천경관이 공존하고 있다.[참고사이트] 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

부산 송도해수욕장(Songdo Beach, Busan)

부산 송도해수욕장서구 암남동에 위치한 송도해수욕장은 1913년 7월에 개장한 우리나라 제1호 공설 해수욕장이라 최초의 근대 해수욕장이다.송도 해수욕장에서는 1월 해맞이 축제를 비롯해서 2월 달집축제, 8월 여름바다축제 및 현인가요제, 10월 고등어 축제 등 1년 내내 다양한 축제와 송돚전국해양스포츠대회 등 각종 해양스포츠대회로 문화.예술,스포츠 등 한차원 높은 공간으로 지리매김하고 있다.[참고사이트]부산광역시서구 문화관광 웹사이트

부산 태종대(Taejongdae, Busan)

부산 태종대부산대교를 지나, 영도해안을 따라 약 9.1km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태종대유원지는 해발 250m의 최고봉을 중심으로 해송을 비롯한 120여종의 수복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으며, 해안에는 깍아 세운 듯한 절벽과 기암괴석 그리고 탁 트인 대한해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이다.[참고사이트] 부산시설공단 웹사이트

부산 을숙도 생태공원(Eulsukdo Ecological Park, Busan)

부산 을숙도 생태공원을숙도는 새가 많고 물이 맑다하여 이름 지어졌으며, 1916년도에 지적도에 처음으로 등장한 섬이다.이곳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또한 동아시아~호주를 이동하는 철새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1970년대까지만 해도 국제적인 주목을 받던 동양 최대의 철새 도래지였다.[참고사이트] 부산광역시 웹사이트

해남 땅끝마을(Ttangkkeunmaeul, Haenam)

해남 땅끝마을[땅끝유래]한반도의 최남단으로 북위 34도 17분 21초의 해남군 송지면 갈두산 사자봉 땅끝이다.'신중동국여지승람' 만국경위도에서는 우리나라 전도 남쪽 기점을 이곳 땅끝 해남현에 잡고 북으로는 함경북도 온성부에 이른다고 말하고 있다.또한 육당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 에서는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 천리, 서울에서 함경북도 온성까지를 2천리로 잡아 우리나라는 3천리 금수강산이라고 하였다.오래 전 대륙으로부터 뻗어 내려온 우리민족이 이곳에서 발을 멈추고 한겨례를 이루니, 역사이래 이곳은 동아시아 3국 문화의 이동로 이자 해양문화의 요충지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여수 향일암(Hyangiram Hermitage)

여수 향일암향일암은 1300여년 전 선덕여왕 8년(서기659년) 원효대사가 기도 중에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원통암'이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습니다.그 후 고려 광종 9년(서기958년) 윤필대사가 산의 형세가 마치 금거북이가 불경(경전바위)을 등에 지고 용궁으로 들어가는 것 같다하여 '금오암'이라 부르다가 조선 숙종 때 인묵대사가 수행정진 중 대웅전을 짓고, 금불상을 봉안하면서 처음으로 '해를 향하는 암자'라는 뜻의 '향일암'으로 이름지어 지금까지 불리게 되었습니다.

순천 송광사(Songgwangsa Temple, Suncheon)

순천 송광사조계산 송광사는 1200여년전 신라말엽 혜린선사가 창건하여 송광산 길상사라 이름하고 화엄종지를 선양하였다.고려 명종 27년(1197년) 불일보조국사가 이곳을 정혜결사의 도량으로 정하고 가람을 크게 중창, 조계산 수선사라 개칭하고 선.교를 융합, 정혜쌍수의 조계종풍을 드날려 고려 불교를 중흥시켰다.

반응형